이번 뉴스레터에서는 이슈판례 3개를 소개합니다. 노사 당사자간의 근로자지위를 확인하는 사건들입니다. 대법원에서 지난 2월 26일 오랜 기간 동안 주목을 받던 현대자동차, 남해화학, 철도공사의 사건들의 확정 판결을 내렸는데, 각 사건마다 다소 쟁점과 사실관계가 다른 점이 눈에 보입니다. 세 사건의 이해를 돕기 위해 그 쟁점과 사실관계를 간략하게 정리하였습니다.  
  
아래 링크를 참조하시기 바랍니다. 
 
한결 노동 뉴스레터 2015년 4월호 
  
| 
 피고  | 
 현대자동차  | 
 남해화학  | 
 철도공사  |  
| 
 쟁점  | 
 1. 원고들 1이 피고와의 묵시적 근로계약관계가 있는지 
2. 원고들 2가 피고와 근로자파견관계가 있는지 
(피고와 사내하청은 도급관계인지)   | 
 현대차 2.와 동일   | 
 현대차 1.과 동일   |  
| 
 원고  | 
 1. 하청(위탁)회사 재직기간이 2년 미만인 근로자들 
2. 하청(위탁)회사 재직기간이 2년 이상인 근로자들  | 
 현대차 2.와 동일  | 
 현대차 1.과 동일한 KTX 여승무원   |  
| 
 원심  | 
 1. 묵시적 근로계약관계 없음(원고 청구 기각) 
2. 근로자파견관계에 있음  | 
 현대차 2.와 동일  | 
 묵시적 근로계약관계 있음 
(피고 항소 기각)  |  
| 
 상고인  | 
 1. 재직기간 2년 미만인 원고들 1 
2. 현대자동차  | 
 남해화학  | 
 철도공사  |  
| 
 계약상 
사용자  | 
 사내협력업체  | 
 사내도급업체  | 
 위탁업체  |  
| 
 원고들 
업무  | 
 생산차 생산 및 조립 
차체공장과 델타안전공장 및 의장공장의 각 일부 공정에 배치되어 컨베이어벨트 좌우에 피고 소속 정규직 근로자와 혼재하여 배치  | 
 시설관리 및 비료생산 업무 등 피고 소속 근로자들과 동일업무, 같은 조에 배치  | 
 KTX 열차순회 및 승객 응대 
피고 열차팀장 업무와는 구분  |  
| 
 판결 
결과  | 
 1. 원고들 1 상고 기각  
      = 묵시적 근로계약관계 부인  
2. 피고 상고 기각  
      =원고들 2의 근로자파견관계 인정  | 
 피고 상고 기각 
= 원고들과의 근로자파견관계 인정  | 
 상고 인용 
= 묵시적 근로계약관계 부인  |  
| 
 비고  | 
 대법원 최초로 근로자파견관계 여부에 대한 구체적인 법리 제시한 판결  | 
 현대차와 동일  | 
 사건을 서울고법으로 파기환송  |   
   |